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열대지방 산에는 온갖 먹을 열매가 많지 않을까 하여 살폈지만 보이지 않는다. 무엇을 따먹고 배탈도 나야 온 값을 할 텐데 이거 어디 없나 두루 찾았다. 바다나 집 주위 열매는 주인이 있을 것 같지만 여기는 따먹으면 되잖을까. 어디 없이 산에는 먹을 게 없는가 보다. 낙원도 아닌데 사과나 복숭아가 있겠나. 아니 바나나, 파인애플이나 망고가 없다. 그래도 우리 산하에는 산딸기, 머루와 다래가 있어 따먹으면서 혀가 시려 꼬부리곤 했는데 그런 재미가 없다. 거기다 벌·나비를 볼 수 없다. 가만 있는 숲속으로 움직이는 것이 그림처럼 어여쁜데 잉잉하는 소리도 사뿐사뿐하는 흔들림도 도시 안 보인다.
스콜이 내린다고 하더구만 건기인지 보름 넘게 있어도 밤에 두 번인가 내리고 낮에는 못 봤다. 이리 더울 때는 한 번씩 쏟아져야 식을 텐데 또 산속 어디에 잘못 앉았다가 뎅기열모기에게 뜯기기라도 하면 큰일이다. 계속 보시랑 대면서 움직여야 하고 어디 꽃들이 피었나 싶어 보지만 없다. 우리나라는 들꽃들이 많은데 여기는 어찌 없다. 길섶이나 숲속에 보면 예쁜 꽃들이 보시시 피어나건만 산속에서 꽃을 보기가 힘들다.
사람 발바닥을 닮은 말레이곰이 얼마 전 탈출하여 청계산에 들어가 그 겨울 추위를 어떻게 감당하고 잡혔는데 이 산속을 가다가 욱하고 나타나면 어떡하나 쓸데없는 걱정을 하면서 갔다. 정상은 힌두사원과 레스토랑이 차지하고 있었다. 무슨 옛날 대포가 걸려 있는데 앞에다 둥근 쇠 알을 두드려 넣고 심지에 불을 붙이면 펑하고 날아가 맞으면 죽고 안 맞으면 안 죽는 포였다. 조지타운이 한눈에 내려다보이고 바다를 가로질러 페낭대교가 길-게 뻗어 있다. 그 건너 도시와 좌측으로 드넓은 누릇한 벼논이 보였다. 한국은 연일 눈보라에 강추위라는데 이게 뭔가. 더워서 수영을 한다. 샤워를 한다 호들갑인데 희한한 나라이다.
고사리가 야자수처럼 나무로 된 것이 있었는데 더 멋있어 보였다. 높은 곳에는 가꾸어 놓은 꽃들이 보였다. 큰 나무에 굵고 붉은 꽃이 피었는가 하면 노란 꽃이 구름 피어나듯 푸른 숲속을 밝혔다. 가는 줄기 우듬지에 붉은 열매가 주렁주렁 달려서 꾹 눌러 기름을 팔에 발랐다. 그만 아파 오고 욱신거려서 빨리 닦아냈다. 팜유나무 열매로 기름을 짠다 해서 이것도 그런가 싶어 해 봤는데 이상했다. 높은 산 위에는 여러 채의 집들이 있는데 아름다운 원색의 꽃동산을 이루었다. 차도를 따라 걸으며 전망을 하도록 되었다.
밀림을 들여다보니 우뚝한 교목(喬木)이 있는가 하면 제멋대로 자란 관목(灌木), 만목(蔓木)과 잡초들이 엉켜서 그 속을 다닐 수 없을 지경이다. 기어오르고 넘어뜨리는 칡넝쿨, 등나무, 다래, 머루와 담쟁이는 보이지 않아도 되게 어설퍼 보여서 들어가고 싶은 우리나라 숲과는 정나미가 다르다. 들어갔다가는 헤어 나오기가 어려울 것 같다. 방향도 어두워서 알 수 없을 것 같고 원숭이가 버글버글 하는데 또 무슨 짐승이 있을지 모르겠다.
페낭 섬은 엎드린 모양이 거북이를 닮았고 그 가운데 높은 산이 800여 미터이다. 그 정상을 가기 위해 등산을 하는 사람도 있지만 덥고 높아 식물원에서 정상까지 다니는 차량을 이용하기도 한다. 또 줄로 끌어올리고 내리는 케이불카인 후니쿨라 기차도 있다. 이 정상에서 보면 청색 바다가 옥색 바다로 보인다. 쪽빛 바다가 어쩌면 예쁜 연두색으로 보일까. 사방으로 시내, 항구, 바다와 육지가 다 내려다보이는데 아름다운 섬에다 명당 전망대이다.

(시조 시인이자 수필가인 강신구 씨는 지난해 아내와 함께 말레이시아 페낭에 정착해 타국에서의 새로운 삶을 살고 있다.)
Posted by skyedu
|

Langkawi - 전설과 99 개의 섬, 랑카위군도
"랑카위"는 "말레이시아" 반도 최북단에 위치한 관광명소로 수많은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아름다운 104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로, 이 섬들은 제각기 나름대로의 전설과 신화를 지니고 있다. 중국계 사람이 지배적인 "페낭"과는 달리 5만여 명의 인구 중에 90%가 말레이인, 7%가 중국계, 나머지 3%가 인도계 및 그 밖의 소수종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산업은 기름진 땅과 근해의 풍부한 어족자원을 바탕으로 농업과 수산업이 발달하였고, 현재는 정부 및 민간주도하에 관광산업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대부분의 인구가 살고 있는 중심 지구인 "구아(Kuah)타운" 에는 자신이 원하는 해산물을 주문, 즉석에 서 요리하여 먹을 수 있는 해산물 레스토랑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외국관광객들의 호평을 받고 있으며, 섬 전체가 면세지역으로 많은 면세점이 외국손님들에게 면세쇼핑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랑카위섬의 여러 곳에서 별장(cottage)식 호텔들이 지어지고 있는데, 이는 코코넛나무의 키보다 높은 4층 이상의 건물을 짓지 못하도록 법으로 규제하고 있기 때 문이기도 하지만, 자연경관을 해치지 않고 최대한 보존하려는 이곳 사람들의 지혜 이기도하다.

전설과 관련된 랑카위의 관광명소
파당 마찌라트(Padang Matsirat)
"랑카위"섬은 인도양이 "말라카" 해협으로 흘러드는 길목, 즉 태국과 경계를 이루는 말레이 반도의 최북단 "케다" 주 앞에 위치하고 있다. 17세기 중엽 지금의 태국 영토인, 케다를 "씨암(SIAM)"의 군대가 침입하였다. 이 전쟁은 길고 어려운 싸움이었고, 서로 많은 희생자를 내게 되었다. 결국 "씨암"의 군대가 "케다"를 정복하고 랑카위를 공격하려 하였다. 이 소식은 섬주민들을 두려움에 떨게 했고, 이 절박한 상황을 타개하려는 모 임을 갖게 되었다.

그 당시 섬주민들의 주된 양식은 이 섬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는 쌀이었는데, 마을의 촌장은 이 쌀이 적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지하창고에 감출 것을 명령하였다. 그들은 또 여러 개의 우물을 파서 독을 넣었다. 씨암의 군대 가 이 섬에 상륙해서 그들의 군량미를 충당하고자 쌀을 찾았으나 헛수고였다. 지치고 목이 마른 군사들이 우물물을 마시고 죽게 되자 섬주민의 속임수에 분노하여 전 마을에 대한 대학살을 단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곡식창고는 불타게 되었고, 쌀은 잿 더미로 변했다. 오늘날까지도 폭우가 내리면 불탄 쌀의 흔적이 "베라스 테르바카 (Beras Terbakar: 말레이어로 불탄 쌀을 의미)"라는 곳에서 발견되며, "쟁카(Jengka)"라는 마을에는 독우물 중에 하나가 남아있다고 한다.

이외에도 "구아 쩨리따(Gua Cerita)" , "텔라가 아이에 파나스(Telaga Air Panas)", "풀라우 다양 분팅(Pulau Dayang Bunting)" 등 전설과 관련된 관광명소가 많이 있다.

들려 볼만한 "랑카위"의 명소
- 아이에 항같 마을(Air Hangat Village)
중심지인 "구아타운"과 공항으로부터 각각 16km(차로 15분 걸림)거리에 위치한 이곳에서는 몇 가지의 흥미로운 볼거리(킥복싱, 뱀쑈, 말레이 스턴트쑈)와 저녁식사를 곁들인 말레이 전통 민속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Air Hangat은 '뜨거운 물'이란 뜻으로 이곳이 바로 온천수에 얽힌 전설이 깃든 장소이며, 실제로 세군데에서 뿜어져 나오 는 온천수를 볼 수 있다.

오전 10시에 개장하여 낮 공연을 저녁 6시에 마치고, 8시부터 민속공연 디너쑈 시작.

- Taman Buaya 악어농장
보루네오 사바에서 가져온 1,000마리의 훈련받은 악어가 여행객들에게 각종 볼거리 를 제공한다.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리조트 개발이 한창인 Teluk Datai 해변에 인접 한 이 악어농장은 단순히 악어를 구경하는 종래의 관광형태를 벗어나 악어의 습성, 묘기, 생활방법 등을 관광객들이 관찰할 수 있도록 악어에게 먹이를 직접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악어도 인간과 친숙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전 9시에 개장하여 오후 5시30분에 문을닫는다.

- Datai Bay Golf Club
천연상태의 해변으로는 "랑카위"에서 가장 이름답다는 "Teluk Datai(다따이만)" 해변에 위치한 이 골프클럽은 18홀을 보유하고 있으며, 뒤편에는 웅장한 Macincang산의 줄기가 병풍처럼 둘러져 있다. 가까운 "Teluk Datai Resort"에 속해있고, 이 리조트에 투숙한 손님들에게 이곳까지의 교통편을 무료로 제공한다. 이 골프클럽은 자연경관이 뛰어나 골프를 하지 않는 관광객들도 바다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자주 찾는다.

랑카위 해변의 진수
- 펠랑기 비치 리조트(Pelangi Beach Resort)
랑카위에는 펠랑기 비치 리조트를 포함, 랑카위 아일랜드 리조트(Langkawi Island Resort), 무티아라 비치 리조트(Mutiara Beach Resort)의 세 곳이 주요 관광리조트 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연경관이 뛰어나고 매혹적인 비치와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리조트는 Cenang 비치에 위치한 Pelangi Beach Resort이다. 인도양 을 바라보며 길게 뻗어있는 해변에 늘어선 샬레(Chalet)식의 방갈로, 군데군데 적당 한 장소에 서있는 야자수와 그 밑의 시원한 그늘, 온갖 열대성 꽃으로 꾸며진 넓은 정원, 하루가 스러질 때 어김없이 찾아드는 석양, 그리고 노을. 이 모든 것이 한데 어울려 이국의 정취를 물씬 풍기는 곳이다.

이 리조트는 89년 10월 랑카위섬 서해안의 10만2천평방미터에 달하는 넓은 면적 위에 세워졌고, 이곳에서 생산되는 목재를 사용하였다. 건축양식은 말레이 고유의 캄풍(Kampung) 스타일로 방 내부는 정교한 조각으로 장식되었으며, 자연의 색조를 유지하였다. 이 리조트의 이름인 펠랑기는 '무지개'란 뜻인데, Singapore Mandarin International 그룹이 운영하고 있다.

Posted by skyedu
|

Redang - 공개하기 싫은 너무 아까운 보물섬
"쿠알라 트랭가누(Kuala Trengganu) 해안의 45 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플라우 르당(Pulau Redang)"은 "트랭가누" 해안 앞 바다의 남지나해에 점점이 들어선 군도 중에서 가장 큰 섬이다. 이 섬은 수정같이 맑은 물과 다이빙 애호가들을 위한 여러 곳의 다이빙 장소들을 제공한다. "풀라우 르당" 해양 공원내의 보호지역인 이 곳의 바다는 해양 생물들이 풍부하다. 한 낮에 태양 광선이 바다 안으로 비춰 들어가면 현란한 색상의 산호와 아네모네 그리고 조개들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풀라우 르당" 주변의 바다에는 두 개의 역사적인 난파선이 가라앉아 있다. "H.M.S 프린스 오브 웨일즈" 와 "H.M.S 리펄스"호는 제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일본군이 말레이시아를 점령할 즈음에 이곳에 가라 앉았다. 이 평화로운 낙원의 섬은 "스노클링", "수영", "스쿠버 다이빙", "정글트랙킹", "보트 타기" 그리고" 커누"를 즐기기에 완벽한 곳이다. " 풀라우 르당"이 해양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이 섬을 중심으로 반경 3.2킬로미터 내에서는 낚시를 할 수 없다. 산호나 다른 해양 생물을 수집하는 것도 금지되어 있다.
이웃 섬인 "풀라우 에코르 태부", "풀라우 링", "풀라우 피낭", "풀라우 비동", "풀라우 랑탱가" 그리고 "풀라우 리마" 등의 섬들도 역시 스노클링을 위한 훌륭한 수중 천국이다. 르당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저렴한 숙소에서부터 국제 수준의 호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숙박 시설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섬에 있는 "버자야"의 두 곳 호텔에 숙박하는 고객들은 18홀의 골프 코스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교통편
쿠알라 트랭가누와 머랑의 제티에서 보트를 타고 아일랜드 호핑 여행을 시작 할 수 있다.
쿠알라 트랭가누에서 르당까지 여행시간은 1시간 반, 머랑에서는 50분 정도 소요된다.
Posted by skyed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