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이번장은 'do''make'에 대해 배워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뭐 사실 이정도는 대부분의 회원님들이 알고 계시리라 생각하는데요.. 그런가요? ^^

아시다시피 'do'는 '~을 하다' 라는 뜻이고 'make'는 '~을 만들다'라는 뜻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이번장에서 배우실

내용도 두 단어들의 이러한 기본적인 뜻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내용들입니다. 그럼 간단하겠죠?

자.. 그럼 'do'부터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앞장에서 'do'의 세가지 용법에 대해서 배웠는데요.. 무슨 내용들인지 기억 나십니까? ^^ 그럼 잠들어 있는

기억을 깨우기 위해 예문을 한가지씩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Do you like baseball?'(너 야구 좋아해?) 일반동사(like)가 포함된 문장을 의문문으로 만들어 주기위해 'do'가 사용되었네요.

'I don't like Enlish.'(나는 영어 좋아하지 않아.) 공감한다고 고개 끄덕이고 계시면 안됩니다.--+

일반동사(like)가 들어간 문장을 부정문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do not'이 쓰여진 문장입니다.

'I did my home work 2 hours ago.'(난 두시간전에 숙제를 했어).. 'do'의 기본 뜻인 '~을 하다'라는 뜻으로 사용이 되었죠?..

이렇게 세가지 경우를 들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do'가 사용되는 관용적인 표현을 하나 들어본다면..

'What do you do?'(당신은 무엇을 하십니까?).. 라는 표현이 있는데요..

위의 문장은 보시다시피 '현재시제'로 사용이 되었기 때문에 '항상' 혹은 '거의 항상' 사실에 해당되는 내용에 대해 질문을

하고 있군요.. 그래서 위의 문장은 '당신이 항상 하고 있는 일은 무엇 입니까?'..라는 뜻으로 곧 '당신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라는 질문으로 사용됩니다. 이해 하시겠죠?

그외에도 'do the dishes'(설겆이를 하다)등의 'do'를 사용해서 나타내는 표현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표현들을 한글로

직역할 경우 한글표현과는 맞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예를들어 'do the dishes'를 직역하면 '접시들을 하다'라고 직역이

되겠죠.. 그렇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 단어 하나하나를 끊어서 받아 들이시기 보다는 '설겆이 하다'는 'do the dishes'

이렇게 으로 받아 드리시는 게 중요합니다. 앞에서도 말씀 드렸다시피 외국어를 배우는데 있어서 이는 아주 중요한

사고방식입니다.

자..그럼 이번엔 'make'에 대해서 한번 알아볼까요?..

다들 잘 아시다시피 'make'는 기본적으로 '~을 만들다'라는 표현입니다.

'I made this a year ago.'(일년전에 내가 이것을 만들었어.)

'Who made this movie?'(누가 이영화를 만들었어?)

이렇게 '~을 만들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것 외에도 'do'의 경우처럼 '한글'로 직역했을 경우 그 뜻이 정확히 어울리지

않는 표현들이 제법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들은 교재를 통해서 한번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러한 표현들을 어떻게 다 외우느냐?..

아무래도 가장 좋은 방법은 실제 생활에서 본인이 직접 써먹어 보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만.. 여건상 그러기 힘드시니..

제가 책읽기를 계속 추천해 드리는 겁니다. 책을 읽으시다 보면 위와같은 표현들이 꾸준히 반복 됩니다. 그러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러한 용법들이 자연스럽게 인지가 되는 거구요..

Posted by skyedu
|

Whoever claims to live in him

must walk as Jesus did.

1 John 2:6

그의 안에 산다고 하는 자는

그가 행하시는 대로 자기도 행할지니라

요한일서 2:6

claim ; ...을 요구하다,..의 권리를 주장하다.

Posted by skyedu
|

'go to'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표현들 모두가 '~하러 가다'는 표현들 인데요..비슷한 뜻에서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들에

가까우니 교재를 통해서 눈으로 익혀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go to'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을 드려 볼까요?.. (젤 만만한거만 고르고 있어...--+)

여기서 'to'는 앞에서 우리가 배웠던.. 한문장에 동사가 두개가 되는것을 피하기 위한 'to + 동사원형'에서의 그 'to'가 아니구요.

'~에 가다'라는 표현을 할때 '장소'에 해당되는 단어 앞에 놓여서 '~에'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단어(전치사) 입니다.

'I am going to school'(나는 학교 가고있다.)

그렇다고 'to'는 '~에'라는 뜻이구나 라고 외우시진 마시구요.. '~에 가다'라고 할때 '장소'앞에 사용되는 단어가 'to'구나..

라고 기억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앞에서도 얘기드린 바 있지만 '영어'와 '한국어'는 다른 언어인 만큼 문법적으로도 완전히

일치할 수가 없기 때문에 영어와 한글을 연관지어 생각하시기 보다는.. '이런 경우엔 이렇게 사용하는 구나'라고 그대로

받아 들이는 습관을 들이셔야 합니다. 아시겠죠? ^^

이렇게 대부분의 경우 '~에 가다'라는 표현을 나타낼때 장소 앞에 'to'가 붙지만 예외에 해당하는 표현이 있습니다.

'I am going home.'(나는 집에 가고있어.).. 이렇게 '집에 가다'라는 표현은 관용적으로 'go home'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번장을 끝내려고 했더니 'go on'이 눈에 밟히는 군요...ㅜㅜ 그럼 간단히 'go on'에 대해서도 설명을 드려 보겠습니다.

'go on'은 이번장에서 사용된 '~에 가다'라는 뜻 외에도 여러가지의 뜻이 있습니다.. 먼저 이번장에서 사용된 뜻에 대한 예문을

하나 살펴 보겠습니다.

'I want to go on a trip with 소히'(나는 소히와 여행가기를 원해.)

'go on '은 이렇게 명사와 함께 사용되어 '~하러 가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것 외에도 '동사'와 같이 사용되어

'~을 계속하다'라는 뜻으로도 사용 되는데요.. 그러면 여기서 영작문제를 한문제 내어 드리면서 이번장을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나는 계속 일할거야'라는 표현을 'will' 과 'go on'을 써서 완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여러분이 배우셨던 '어법'이면

충분히 완성하실 수 있는 문장입니다.

이번장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

정답 :

'I will go on working.'(나는 계속 일할거야.)

'go on'(계속 ~을하다)뒤에 'work'(일하다)라는 표현이 오면서 'working'로 바뀌었습니다. 앞에서 배우셨던

'at, in, on, of, to'등의 전치사 뒤에 동사가 오면 '~ing'형으로 바뀐다고 말씀 드렸던 내용을 잊으신건 아니겠죠? ^^

Posted by skyedu
|

...I will not sacrifice to the LORD my God

burnt offerings that cost me nothing...

2 Samuel 24:24

...값 없이는 내 하나님 여호와께

번제를 드리지 아니하리라...

사무엘하 24:24

sacrifice ; 산제물,산제물을 바침,희생

burnt ; burn의 과거,과거분사, 태운,화상을 입은

offering ; 봉헌,제물,헌금

burnt offering ; 번제

Posted by skyedu
|

이번장에서 배우실 내용은 어떤 행위의 '목적'을 뜻하는 '~하기 위해'라는 표현 입니다. 그럼 예문으로 바로 고고씽

해보겠습니다..

'Why did you go to Britain in 2002?'(2002년도에 넌 왜 영국에 갔어?)

위와같은 물음에 대한 답변으로써 '영어를 배우기 위해'라는 답변은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요?.. 아시다시피 '영어를 배우다'

라는 표현은 'learn English'(or study English)인데요. 그러면 여기에 '~하기 위해'라는 뜻을 첨가 시켜줘야 겠지요?.. 바로

'to + 동사원형'이 이러한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문장은,

'To learn English.'(영어를 배우기 위해서야').. 이렇게 대답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번엔 '나는 영어를 배우기 위해 영국으로 갔어'라는 문장을 한번 만들어 볼까요?..

'I went to Britain.'(나는 영국으로 갔어.)와 'to learn English'(영어를 배우기 위해서)라는 표현을 그대로 합쳐주면..

'I went to Britain to learn English.'(나는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 영국으로 갔어.)라는 문장이 완성 되는군요..

혹시 동사가 두개가 쓰였는지 여부를 살펴 보니.. 'went' 'to learn'으로 나타나 있으니 아무런 문제가 없군요. 그렇죠?..

이렇게 'to + 동사원형'이 '~하기 위해서'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라는 것을 전제로 위의 문장을 만들어 봤는데요. 사실 이 부분을

배우지 않으셨다 하더라도 지난장까지 우리과 배웠던 'to'의 용법인 '한 문장에서 동사 두개가 존재하는 것을 막기위해

두번째 동사를 'to + 동사원형'의 형태로 바꿔준다'라는 부분만 알고 있으시면 위의 문장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한번

해볼까요?..

'I went to Britain'(나는 영국으로 갔어)와 'learn English'(영어를 배우다)를 한번 그대로 붙여 보겠습니다. 그러면

'I went to Britain learn Englsih.' 라는 문장이 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동사 두개(went, learn)가 겹치죠?.. 그래서 'learn' 앞에 'to'를 넣어서 'to learn'으로 바꿔주면

되겠네요.

그러면, 'I went to Britain to learn English.'(나는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 영국으로 갔다) 이렇게 제대로된 문장이 완성됩니다.

그렇죠?.. 이렇게 문장을 만드는 기본적인 원리를 알고 계신다면 '어법'을 이해 하시는데 좀 더 도움이 되실 겁니다.

자, 그럼 이번엔 'for'에 대해 한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I went to Britain to learn English.'(나는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 영국으로 갔다)

이 문장을 '나는 영어를 위해서 영국으로 갔다'라고 나타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될까요?..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 라는

표현에서 '배우다'라는 동사가 빠진 문장입니다. 그렇다면 위의 문장에서 처럼 'to + 동사원형'(to learn'의 형태는 사용이

불가능 하겠군요.. 그렇죠?.. 이렇게 동사가 없이 '명사'만 존재할 경우에 '~를 위해'라는 표현을 만들어 주기위한 단어가

'for'입니다.

'I went to Britain for English.'(나는 영어를 위해서 영국으로 갔다.).. 이런 문장이 되겠군요..

'to learn English'와 'for English'... '동사'가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입니다. 이해하시겠죠?..^^

그럼 이해를 돕기위해 영작을 해보겠습니다. 3분의 시간을 드릴테니 연습장 꺼내셔서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1. 나는 사장(the boss)을 만나기 위해 거기에 갔었다.

2. 나는 돈 때문에 거기에 갔었다.

해보셨습니까?..ㅋㅋ 이건 뭐 확인할 길이 없으니..--+ 저 좋자고 드리는 말씀이 아니니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알았삼? ^^

아무튼 정답은..

1. I went there to meet the boss.

2. I went there for money.

1번의 경우 '사장을 만나다'라는 표현에 '만나다'(meet)라는 동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to + 동사원형'을 사용한 반면

2번의 경우에는 'money'라는 명사에 '~를 위해'라는 표현을 덧붙여 주기위해 'for'를 사용했습니다. 이해가시죠?..

그럼 이번엔 '~을 (위해) 기다리다'는 표현인 'wait for'라는 표현을 배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I was waiting for you'(나는 너를 기다리고 있었어)라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이 문장에 다시 '너의 남자친구에 대해 얘기하기 위해서'라는 표현을 덧붙이면 어떤 형태의 문장이 될까요?..네..

'I was waiting for you'(나는 너를 기다리고 있었어)라는 문장에 'talk about your boy friend'(너의 남자친구에 대해 얘기하가)

라는 문장을 그대로 붙여보면,

'I was waiting for you talk about your boy friend.'라는 문장이 되는데 동사가 두개이니(was,talk) 'talk'를 'to talk'로

바꿔주면 되겠군요.. 그러면

'I was waiting for you to talk about your boy friend.'.. 라는 문장이 완성이 되겠네요~ 이해가시죠? ^^

Posted by skyedu
|

Seek the LORD while he may be found;

call on him while he is near.

Isaiah 55:6

너희는 여호와를 만날 만한 때에 찾으라

가까이 계실 때에 그를 부르라

이사야 55:6

Posted by skyedu
|

제가 지난장에서 올려 드린 '문장 만들기 실습'글을 보신 분이라면 이번장에서 배우실 내용이 낯설지 않게 느껴지실 것

같습니다. 그럼 그 글에서 사용했던 예문으로 이번장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나는 하나의 직업을 가지길 원한다.'라는 문장을 영작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I want to have a job.'.. 이미 우리가 지난장에서 배운 내용이죠?..

자, 그러면 이번엔 '나는 니가 하나의 직업을 가지길 원한다'라는 문장을 영어라 하면 어떻게 될까요?..네..

'I want you to have a job.'.. 이렇게 표현이 됩니다.. 제가 엄마한테서 자주 듣는 표현입니다..--+

잘 보시기 바랍니다. 나는 '니가' 무엇을 하길 원한다.. 라고 할때 'I want you' 이렇게 그 대상을 바로 언급한 후에 할말(직업을 가져)을 합니다.

그럼 이번엔 여러분께서 '태히는 내가 소히와 데이트 하는것을 원치 않는다'라는 표현을 한번 영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태히 doesn't want me to date with 소히.'.. 그렇죠?.. 윗 문장과 같은 원리 입니다.

그럼 이번엔 'tell'(told)에 대해 배워 살펴 보겠습니다. 예문을 하나 볼까요?

'I told you to call him.'(내가 너보고 그에게 전화하라고 했잖아.)..라는 문장입니다.

'want'의 경우와 거의 흡사하죠? 'told' 다음에 '사람'이 바로 오고.. 'told'와 'call' 동사가 두개 이기 때문에 'call'을

'to call'로 바꿔 주었습니다.

교재를 보시면 이런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어들이 나와 있으니 한번 읽어 보시구요..

그러면 이번엔 위의 표현들의 부정문에 대해서 알아 보기위해 위에서 예로 들었던 문장을 가져와 보겠습니다.

'I want you to have a job.'(나는 니가 직업을 가지길 원한다.)

그럼 이문장을 '나는 니가 직업을 가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요?.. 한번 적어 보시기 바랍니다.

'I don't want you to have a job.'.. 이렇게 됩니다.

그럼 이번엔 '나는 니가 직업을 가지지 않기를 원한다.'는 어떻게 영작할 수 있을까요?.. 직접 해보시겠습니까?..^^

정답은.. 'I want you not to have a job.'..입니다..

두 문장의 차이점에 대해서 아시겠습니까? 위의 문장은 '원하지 않는다'로 '원한다'는 뜻인 'want'를 부정하기 위해

'don't'를 사용하였습니다. 반면에 아래의 문장은 '가지지 않기를'으로 '가진다'(to have)를 부정하기 위해 'to have'

앞에 'not'을 붙여주었습니다..

이렇게 부정하고자 하는 단어 앞에 '부정어'를 붙여 주는 것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이해하시는데 무리가 없을듯 합니다.

자, 그럼 이제 마지막으로 'make''let'에 대해 배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장에서 동사가 두개가 겹칠경우 뒤의 동사가 'to + 동사원형' 혹은 '~ing'형으로 바뀌는 것에 대해 배웠는데요.. 'make'와

'let'다음에 오는 동사는 예외적으로 '동사원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럼 'make'의 경우부터 살펴 볼까요?..

'I made her cry yesterday.'(나는 어제 그녀를 울게 만들었다.)

'make'는 물건등을 '만들다'는 뜻 외에도 다른 '사람'을 강제로 '~하게 만들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보통 '~하게 시키다' 라는

뜻을 많이 사용하는데 저는 여러분이 좀 더 기억하기 쉽도록 '~하게 만들다'라는 표현을 쓰겠습니다. ㅋ

위의 문장을 보시면 'made'(make)의 경우도 위에서 살펴본 다른 단어들과 마찬가지로 '사람'이 바로 다음에 오지만

동사가 두개가 겹칠 경우(made, cry) 'to + 동사원형'이나 '~ing'가 아닌 '동사원형'을 이끕니다..

'to + 동사원형', '~ing', 그리고 '동사원형'까지.. 종류가 넘 많나요? ^^.. 그렇지 않습니다~

'동사원형''~ing'형을 이끄는 단어들은 별로 많지가 않으니 그 단어들만 기억을 해두시면 됩니다.. 할만 합니다. ㅋㅋ

그럼 이제 마지막으로 'let'에 대해 살펴 봐야겠죠~

'make'가 강제로 '시키는 느낌'이었다면.. 'let'은 ~하도록 '허락하는 느낌'의 단어입니다. 'make'가 터프가이 라면

'let'은 저처럼 부드러운 남자라고나 할까요...(나베르 알리미 : 신고 5건이 접수 되었습니다.)

그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Please let me go!'(부디 저를 가게 허락해 주세요.)

보시다시피 문법적인 부분은 'make'와 동일하게 '동사원형'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해 하셨나요?..

Posted by skyedu
|

Above all else, guard your heart,

for it is the wellspring of life.

Proverbs 4:23

모든 지킬 만한 것 중에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

잠언 4:23

guard ; ...을 지키다,보호하다

wellspring ; 수원,자원,원천,근원

Posted by skyedu
|

자.. 그럼 이번장의 내용을 설명 드리기에 앞서 '한문장에 동사가 두개가 포함된다'는 의미가 도대체 어떤 의미인지 간단히

설명을 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난 널 원해'라는 문장을 한번 보겠습니다.

'I want you'(난 널 원해).. 보시다시피 동사가 'want' 하나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이번엔 '난 널 만나길 원해'를 영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난 원한다'는 표현인 'I want..'와 '너를 만난다'는 표현인 '..meet you'를 결합시키면 되겠죠?..그대로 한번 합쳐보면..

'I want meet you'라는 문장이 됩니다.

위의 문장을 보면 '원한다'는 뜻의 'want'와 '만나다'는 뜻의 'meet'..이렇게 두개의 동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죠?..

이렇게 문장을 만들다 보면 두개 이상의 동사가 포함될 수가 있게 마련입니다. 그럴 경우에 제일 주가 되는 동사 외의 다른

단어들은 다른 형태(to + 동사원형, ~ing 등)로 바꿔주게 되는데요.. 지들이 그렇게 하겠다는데 저도 어쩔 도리가 없습니다.

그러면 왜 어떤 경우에는 'to + 동사원형'이 되고 또 어떤 경우에는 '~ing'로 바뀌는 걸까요?.. 사실 형태가 다른만큼 그 뜻에

있어서도 차이점이 존재하긴 합니다.. 그 점은 글 뒷 부분에서 간단히 언급하기로 하구요..

자.. 그럼 'to + 동사원형'의 형태를 이끄는 동사들 부터 한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I want to learn English.'(난 영어를 배우고 싶어.)

'원하다'(want)와 '배우다'(learn)라는 두개의 동사가 겹치면서 'learn'가 'to learn'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렇죠?..

'She refused to marry me.'(그녀는 나와 결혼하는 것을 거절했다.)

역시 'refuse' 와 'marry' 가 겹치면서 'to marry'가 되었습니다..

'My parents are expecting to see you.'(나의 부모님들은 널 보는걸 기대하고 계셔)

역시 마찬가지 이유로 'see'가 'to see'로 바뀌었네요..

그외에도 많은 단어들이 'to 동사원형'의 표현을 이끄는데요.. 그럼 'want','refuse','expect'와 같은 단어들을 외워야 되느냐?

그러실 필요는 없습니다. '~ing'형태를 취하는 동사가 훨씬 적기 때문에 그 단어들을 외우시는게 훨씬 편합니다..

그럼 이번엔 '~ing'(동사의 ing형)를 취하는 동사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I enjoy learning English'(나는 영어를 배우는 것을 즐긴다.)

'즐긴다'(enjoy)와 '배우다(learn) 가 겹쳤지만 'to + learen'이 아니라 'learning'이 되었네요..

'I stopped smoking 25 minutes ago.'(난 25분 전에 담배를 끊었다.)... 제가 즐겨쓰는 표현입니다.

역시 마찬가지로 'to smoke'가 아니라 'smoking'이 되었습니다.

'We can go out when I finish doing my homework.'(내가 숙제하는것을 끝내면 우리는 밖에 나갈수 있어.)

'finish'와 'do'가 겹치면서'doing'이 되었구요..

위의 단어들 외에도 'mind','suggest','avoid'등의 동사 뒤에는 'to + 동사원형'이 아니라 '~ing'형이 오게 됩니다.

자, 사실 위의 '~ing'를 이끄는 동사들만 외워도 영어를 하는데 있어서 크게 무리는 없습니다..

그래도 앞에서 말씀 드렸던 'to + 동사원형'과 '~ing'의 차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드려야 되겠죠?.. 다만 지금부터 드릴

설명은 굳이 모르셔도 상관 없습니다. 아래의 설명 때문에 원인모를 '체온상승'이나 '안면홍조반응'이 나타난다면 그냥

다음장으로 넘어가셔도 괜찮습니다.

자, 그럼 위에서 예로 들었던 두 문장을 한번 다시 보도록 하겠습니다.

'I want to learn English.'(난 영어를 배우고 싶어.)

'I enjoy learning English'(나는 영어를 배우는 것을 즐긴다.)

한번 두 문장을 음미해 보시기 바랍니다.... 키보드에 대지 마세요.. --+

두 문장 모두에 사용되고 있는 'learn'이란단어에 어떤 의미차이가 느껴 지지 않으십니까?..(아니).. 응..그래

첫번째 문장에서 '나'는 아직 영어를 배우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렇죠? 반면에 두번째 문장에서 '나'는 영어를 이미 배워 본

상태이군요.. 이해가십니까?

이렇게 기본적으로 'to + 동사원형'은 아직 하지않은 미래의 일에 대한 표현인 반면에 '~ing'는 이미 경험한 과거의 일이라는

늬앙스가 강합니다..

그리고 이 부분은 'to + 동사원형'과 '~ing' 모두를 이끌 수 있는 단어를 예로 들어보면 더욱 명확히 들어 납니다.

'I regret to tell you this.But you're fired' (내가 이걸 너에게 얘기하게 되서 유감입니다.. 하지만..넌 짤렸어요.)

'I reget telling you the secret.'(난 네게 그 비밀을 얘기해준걸 후회해..)

어떤가요? 두문장 모두 'regret'이 포함되어 있지만.. 미래의 일을 나타내느냐 과거의 사실을 나타내느냐에 따라 각각

'to + 동사원형''~ing'를 사용했습니다. 첫번째 문장의 경우 앞으로 할 얘기가 유감스럽다는 표현인데 반해 두번째 문장의

경우는 이미 과거에 그 비밀을 얘기한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기본적으론 이러한 차이점이 있지만 그게 모든 경우에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그냥 '이런 차이도 있구나'라고 가볍게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너무 깊이 생각하시면 건강에 해로울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 드립니다. ^^;;

이정도면 이번장의 기본적인 내용은 어느정도 설명이 된 것 같습니다. 생각외로 엄청 길어졌네요..--+

'좋은글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집에 핀 꽃을 찍으며  (0) 2012.07.09
큰 산, 높은 산  (0) 2012.07.09
즐거워지는 방법  (0) 2012.07.05
삶의 리듬  (0) 2012.07.04
사막에서는 물이 귀하다  (0) 2012.07.04
Posted by skyedu
|

Let everything that has breath

praise the LORD.

Praise the LORD.

Psalms 150:6

호흡이 있는 자마다

여호와를 찬양할지어다

할렐루야

시편 150:6

Posted by skyed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