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It’s a tug of war! : 밀땡(밀고 땡기기)하고 있어! 

 

Is everything going okay with your boyfriend Jeff?

남친 제프하고는 잘 지내?

Not really…it’s a tug of war!  He’s always trying to control me, but I need some personal space.

별로...밀땡하고 있어! 언제나 나한테 이래라 저래라 하는데, 난 혼자만의 공간(시간)도 필요해.

 

친절한 수잔(^ ^)의 설명 : “Tug of war” 는 두가지 의미가 있는데요..^ ^

1) “Real tug of war” : 진짜로 "줄다리기"라는 의미

2) 밀땡 또는 파워게임

 
Posted by skyedu
|
add( 더하다,덧붙이다,덧셈하다,첨가하다,늘리다 )

: 'add+목적어+to...'형태로 '~을 ~에 첨가하다,더하다'란 표현을 씁니다.

: additive 부가적인,첨가물 / additional 부가적인,추가

: She is adding some water to the dough.

  (그녀는 밀가루 반죽에 약간의 물을 넣고 있다.)


Posted by skyedu
|

That's music to my ears!
듣던 중 반가운 소리네!

"That's music to my ears!"는 "참 잘 됐다, 듣던 중 반가운 소식이다!"라는 의미이다. Never hit it off very well 또는 not get along very well이라고 하면 '사이가 좋지 못하다.'는 뜻이다. 본문 중의 "That's putting it mildly."는 "완곡하게 표현한 것이다."즉 여기서는 둘의 사이가 아주 나빴다는 것을 의미한다.


YBM 생활영어
A: I just heard that Bill Hartley is being transferred to the Busan branch!
B: Yes! That's music to my ears!
A: Yeah, you two never did hit it off very well, did you?
B: I think that's putting it mildly!


해석

A: 빌 하틀리가 부산 지사로 전근 간다고 방금 들었어!
B: 잘 됐다! 듣던 중 반가운 소리네!
A: 그래, 너희 두 사람 별로 사이가 안 좋았지?
B: 사이가 안 좋은 정도가 아니었어!


More tips
*I was involved in a hit-and-run. 사고가 났는데 상대방 차가 뺑소니쳐 버렸다.
*The movie was a great hit. 그 영화는 대성공이었다.

 

 


자료출처 : YBM si-sa 


Posted by skyedu
|
pound 

 [ 파운드(영국화폐,무게단위) ]

 [ 세게 치다(두드리다), 가루가 되도록 빻다(찧다), 맹공격하다, 쿵쾅쿵쾅 뛰다 ]

Someone was pounding at the door.

누군가가 문을 쾅쾅 두르려 댔다.

[영어식 어순 익히기]

Someone was pounding / at the door.

누군가가 쾅쾅 두드려 댔다       /  문을          

[발음 듣기]

발음듣기&더많은뜻보기 : http://endic.naver.com/enkrEntry.nhn?entryId=159825f7eee044a0988955f4a033d5c3&query=pound


Posted by skyedu
|

[ 오늘의 생활영어 : 우리는 처음부터 죽(뜻)이 잘 맞았어. ]

[한글]

A: 너희들은 진짜 명콤비(멋진 팀)인 것 같아.          

B: 응, 우리는 처음부터 죽(뜻)이 잘 맞았어

A: 좋겠다.  나도 직장에 그런 파트너가 있으면 좋을텐데. 

B: 난 너도 있는 줄 알았는데.

[영어]

A: You guys seem to make a great team.      

B: Yeah, we hit it off from the start

A: You're lucky.  I wish I had a partner like that at work. 

B: I thought you did.

[영어식 어순]

A: You guys / seem to make a great team. 

    너희들         /  명콤비(멋진 팀)인 것 같아 [seem to : ~인 것 같다]        

B: Yeah, / we hit it off / from the start.

    응(맞아), / 우리는 죽(뜻)이 잘 맞아 / 처음부터 [hit it off : 죽(뜻)이 잘 맞다]   

A: You're lucky.   I wish I had a partner / like that / at work.

    행운이다.(좋겠다)   나도 파트너가 있으면 좋을텐데 / 그런 / 직장에

B: I thought / you did.

    난 생각했는데 / 너도 그렇다고  

Posted by skyedu
|
I'll ask (someone) to ~ 

 (someone)에게 ~해달라고(하자고) 부탁(요청)해야겠다

[한글 예문]

1> David한테 가능한 빨리 너한테 전화하라고 할께.

2> Kevin한테 야구장 앞에서 보자고 해야겠다.

3> Rachel한테 내 가방 좀 가져다 달라고 해야겠다.  

[영어 예문]

1> I'll ask David to call you back as soon as possible.

2> I'll ask Kevin to meet in front of the baseball park.

3> I'll ask Rachel to get my bag.

 [영어 어순]

1> I'll ask David / to call you back / as soon as possible.

    David한테 요청할게  /  너한테 전화하라고  /  가능한 빨리                        

2> I'll ask Kevin / to meet / in front of the baseball park.

    Kevin한테 요청해야겠다 / 만나자고 / 야구장 앞에서 

3> I'll ask Rachel / to get my bag.

    Rachel한테 요청해야겠다 / 내 가방 좀 가져다 달라고 


Posted by skyedu
|

단골이에요. 

She is a regular.

▣ 우리나라에선 단골손님에게 물건값도 깎아주고 외상도 가끔 해주지만, 미국에선 그런 경우는 거의 없고 단지 좀더 반기는 정도입니다. 왠지 좀 정이 없는 것 같죠? 하지만 영어에도 단골손님이란 표현은 있습니다.

▣ 보통 a regular customer 줄여서 a regular라고 하는데요. 일정하게 오는 손님으로 생각하면 쉽죠.

▣ “그 여자는 우리가게 단골이에요.”를 영어로 하면 She is a regular here. 또는 뜻 그대로 풀어서 She comes to my store so often.이라고도 합니다.


I think I see him frequently around this area. Is he a regular?

저 사람을 여기서 자주 보는 것 같은데. 단골이야?

Posted by skyedu
|
왜 꿀 먹은 벙어리가 됐지?
 
Cat got your tongue?

☞ 엄마 심부름으로 시장에 가던 길에 친구를 만나 놀다가 돈을 다 써버린 아이이게 아이의 엄마가 꾸중을 합니다. "사오라는 물건은 어디 있니, 돈은 또 어떻했어?…" 아이는 고개를 숙인 채 아무 말도 하지 못하죠. 이런 상황에서 엄마들은 이 표현을 씁니다. ‘왜 꿀 먹은 벙어리야?’

☞ 영어에도 이런 표현이 있습니다. Cat got your tongue? 고양이가 너의 혀를 물어갔냐는 의미인데요. 할말을 못하고 쩔쩔매는 사람에게 쓰는 표현입니다.

A: What’s the matter?
B: Well, uh…….
A: Cat got your tongue?

A: 무슨 일이야?
B: 그게……있잖아….
A: 왜 갑자기 꿀 먹은 벙어리가 됐어?

Posted by skyedu
|

너 오늘 딱 걸렸어!

미국 학생들은 결석 핑계가 주로 자신이 아프다는 것인데 반해 동양계 학생들은 ‘친척이 돌아가셔서’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동서양의 차이가 바로 이런 점인가요?

A: Kim, why were you absent yesterday?
B: Because my grandma passed away.
A: Give me a break! I bumped into her this morning.
B: You got me. The truth is…

A: Kim, 어제 왜 결근했지?
B: 할머니가 돌아가셔서요.
A: 이봐, 말도 안돼! 오늘 아침에 당신 할머니를 봤단 말이야.
B: 딱 걸렸네요. 실은 …

※ give me a break : ‘좀 봐주세요’ 혹은 ‘말도 안되는 소리’
※ bump into : ∼를 우연히 만나다.
※ you got me : 딱 걸렸다.

Posted by skyedu
|
Teach a fish how to swim?

▣ 뭔가에 대해 어설프게 아는 사람이 다 아는 척 잘난 척을 하고 있는데 알고 보니 상대가 그 방면의 전문가였다면 그 사람에게 뭐라고 말해줄까요?

▣ 점잖은 표현으로는 ‘공자님 앞에서 문자 쓴다’고도 하고, 가장 흔한 표현으로 ‘번데기 앞에서 주름잡는다’고 하죠? 또 요즘엔 불도저 앞에서 삽질한다는 표현도 곧잘 쓰는데요. 영어에도 여기에 딱 맞는 표현이 있습니다.
Teach a fish how to swim? 물고기에게 헤엄치는 법을 가르치냐는 말인데요, 정말 재밌죠?
 

A: I’ll teach John playing piano.
B: Come on, he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music. Do you want to teach a fish how to swim?

A: 존에게 피아노 치는 법을 좀 가르쳐야 겠어.
B: 까불지마, 걘 음대 출신이야. 괜히 번데기 앞에서 주름잡지마

Posted by skyed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