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Would you prefer a window or an aisle seat? 

 창가 쪽으로 드릴까요, 통로 쪽으로 드릴까요? 

 

[영어식 어순 익히기]  

Would you prefer / a window / or an aisle seat?

~가 더 좋으세요?        /  창가 쪽이     /  아니면 통로 쪽이  


Posted by skyedu
|

heritage

[ (국가, 사회의) 유산  ]

 

Seokguram is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석굴암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목록에 올라 있다.

[영어식 어순 익히기]

Seokguram / is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석굴암은         /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목록에 올라 있다                

                      

[발음 듣기]

발음듣기&더많은예문보기 : http://endic.naver.com/enkrEntry.nhn?entryId=85b0d33b21284a20aa3eac3d6754d313&query=heritage 


Posted by skyedu
|

Lesson 13 – 제안하기

 

Jason: Are you going to Lisa’s housewarming party?

Sophie: Yeah. Are you going there empty-handed?

Jason: Of course not. I’m thinking of buying a bottle of wine.

Sophie: How about getting a bottle of champagne? I’ll chip-in a few extra dollars.

Jason: That sounds like a good idea. I’m all for it.

Sophie: Deal! What time do you want to meet then?

 

Jason: 너 혹시 리사 집들이에 갈 거니?

Sophie: , 갈 거야. 그런데 너는 빈손으로 갈거니?

Jason: 당연히 아니지. 난 와인 한 병 사갈까 생각 중이야.

Sophie: 샴페인을 사가는 것이 어때? 나도 돈을 보탤게.

Jason: 아주 좋은 생각인데. 전적으로 찬성이야.

Sophie: 좋아! 그럼 몇 시에 만날까?

 

< Key Expressions >

 

are you going to ~: ~할 거니?

*상대방의 의사를 물어 볼 때 많이 사용한다.

 

a housewarming party: 집들이

*a baby shower: 임신 축하 파티

 

empty-handed: 빈손으로

ex. Are you going there empty-handed?: 빈손으로 갈거니?

 

a bottle of wine: 와인 한 병

*two bottles of wine: 와인 두병

*a bottle of beer

*a bottle of champagne

 

I’m thinking of ~: ~할까 생각 중이다

 

How about ~?: 상대방에게 무엇인가를 제안할 때 많이 사용한다.

ex. How about getting a bottle of champagne?

ex. How about getting a box of beer?

ex. How about getting a box of milk?

 

chip in: (포커 등에서) 돈을 걸다, (현금)을 보태다

 

I’m all for it.: 난 전적으로 찬성이야.

*I’m against it.: 난 반대야.

 

completely wrong: 완전히 틀린 [잘못된]

 

Deal! = OK! = 좋다!

 

What if... – 그냥 음식을 사서 갈까?

 

Sophie: You know, Lisa doesn’t like to drink that much.

Jason: Really? Then what should we do?

Sophie: Why don’t we buy something together and give it to her?

Jason: It’s a good idea. We can get some beer, some steaks and grill them at her place.

 

Sophie: 그거 알아? 리사는 술 마시는 거 별로 안 좋아해.

Jason: 정말? 그럼 어떻게 하지?

Sophie: 우리가 뭐라도 같이 사서 리사에게 주는 것은 어떨까?

Jason: 그거 아주 좋은 생각이군. 맥주랑 스테이크 좀 사고, 스테이크는 리사네서 구우면 되겠네.

 

 

< Key Expressions >

 

doesn’t like to drink: 술 마시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not a big fan of alcohol: 술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that much: 이 대화에서 사용된 that so very 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What should we do?: 어떻게 하지?

 

Why don’t we ~?: ~하는게 어때?

*자신의 생각을 상대방에게 제안할 때 좋은 표현이다.

 

It’s a good idea.: 그거 좋은 생각이야.

*It’s a good idea. = It’s a great idea. = That’s a plan!

 

grill: 굽다

ex. Grill steaks on the grill.: 스테이크를 그릴(석쇠)에 굽다.

 

a place = a house = an apartment = a crib

집으로 house 뿐만 아니라 여러 표현들이 있다. crib 은 젊은 층에서 사용된다.


'영작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sson 15 거절하기  (0) 2012.02.01
Lesson 14 설득하기  (0) 2012.01.28
Lesson 12 – 반대하기  (0) 2011.12.05
Lesson 11– 동의하기  (0) 2011.12.01
Lesson 10 - 불평하기  (0) 2011.11.24
Posted by skyedu
|
 

1. 문장의 구성요소


 문장과 문장의 구성성분


문장이란 여러 단어가 모여서 이루어진 집합체를 말합니다. 사람이 뼈와 피부 그리고 여러 장기로 이루어졌고 그것들은 또한 각기 맡은 역할이 있듯이, 문장 역시 각기 뜻을 가진 단어가 모여 온전한 뜻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럼 문장을 이루는 것들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문장에는 문장의 주요성분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와 8품사 ‘8품사’는 ‘①명사, ②대명사, ③동사, ④형용사, ⑤부사, ⑥전치사, ⑦접속사, ⑧감탄사’ 등이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문장을 이루며 온전한 뜻을 만들어 내는 것이지요. 각각 이와 같이 이름 붙여진 단어는 그 문장에서의 역할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피를 온몸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을 심장이라고 하고, 몸을 지탱하고 여러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뼈라고 하며, 그 뼈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피부라고 하듯이 말입니다. 자 그럼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명사, 형용사, 부사, 대명사 등이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그것의 뜻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장의 성분은 문장을 이루는데 꼭 필요한 것을 가리켜 ‘문장의 성분(문장의 요소)’이라 합니다. 문장의 요소 중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를 ‘문장의 4요소’라 합니다.



 1. 주부(主部 Subject)와 술부(述部 Predicate)


나는 공부한다.’에서의 ‘나는’처럼, 문장의 골격에서 ‘무엇이’에 해당하는 말을 ‘주어’라 하며, 해석하면 주어에는 대개 ‘~은, ~는, ~이, ~가’가 붙습니다. 주어에 관해서는 잠시 후에 상세히 설명합니다.

문장에서 주어가 있는 부분, 즉 동사의 앞부분을 ‘주부(主 주인 주 部 거느릴 부, 장소 부, Subject [ 썹젝트] 주부(主部), 주어)’라 합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주인 되는 부분’이라 하겠습니다.

‘술부(述 지을 술, Predicate [prédikit 프뤠디킽])’는 ‘~이다’, ‘~을 하다’처럼 주어의 동작이나 주어의 상태(입장, 처지, 형편)를 설명하는 부분, 즉 동사를 포함한 뒷부분을 ‘술부(설명부분)’라 합니다.

다른 말로는 ‘서술부’라 합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주어의 의미를 설명해주는 부분’이라 하겠습니다.

  (예) This        is    a    book.         < 이것은 책이다. >

      주어         동사              

      주부              술부

This (이것은)는 ‘~은’이 붙어 있으므로 주어입니다. is (~이다)는 동사입니다. 동사 앞쪽은  주부이고 동사를 포함한 뒤쪽은 술부입니다. 이 문장에서 This 는 주어이며 주부입니다. 그리고 is a book 은 술부입니다. 여기서는 주부와 주어가 동일하지만, 술부와 동사는 다릅니다.

 

   (예) A bird   sings.    < 새가 노래한다. > 

         주어     동사    

        주부       술부

       

    여기서는 주부와 주어가 같고, 술부와 동사가 같습니다.    


그러면 주부, 주어, 술부, 술어(=술어동사 =동사)는 어떻게 다를까요?

‘주부’는 동사의 앞부분이며, 주어(~은, ~는, ~이, ~가)가 속해 있습니다. 그리고 ‘주어’는 주부의 알맹이입니다.

‘술부’는 동사(~이다, ~을 하다)가 속해 있는 부분이고, ‘동사’는 술부의 핵심입니다.

  (예1) Diligent   pupils   study very hard.    < hard  열심히 >

       형용사  (명사, 주어) 동사  부사  부사

               주 부        술 부       

    < 부지런한 학생들이 매우 열심히 공부한다. >


pupils 는 주어이므로 주부의 알맹이입니다. 컴퓨터에서 알맹이는 CPU 입니다. 이것이 없으면 컴퓨터는 죽은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이처럼 주부의 알맹이 pupils가 빠지면 이 문장은 참 어색한 문장이 되고 맙니다.  

Diligent study very hard.  < 부지런한 아주 열심히 공부한다. >

마찬가지로 술부의 알맹이  study가 빠져도 어색한 문장이 되고 맙니다.

Diligent pupils very hard.  < 부지런한 학생들이 아주 열심히. >


또한 위의 예에서는 ‘주부 = 주어’, ‘술부 = 동사’라는 등식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음 보기를 하나 봅시다.


  (예2) Pupils    study. < 학생들이 공부한다. >

       주 어      동 사  

       주 부       술 부


‘주부 = 주어’, ‘술부 = 동사’라는 등식이 성립하죠? 따라서 다음과 같이 기억해 두세요.

‘주부’는 동사의 앞부분이고, 주어(~은, ~는, ~이, ~가)가 속해 있으며, ‘주어’는 주부의 알맹이입니다.

‘술부’는 동사(~이다, ~을 하다)가 속해 있는 부분이고, 즉 동사를 포함한 뒷부분이고, ‘동사’는 술부의 알맹이입니다.


예2)처럼 술어동사(동사) 앞부분이 주어 하나로 되어 있으면 주부와 주어는 같고,

예1)처럼 주어와 더불어 여러 단어로 되어 있으면 주부와 주어는 다르다 하겠습니다.


예2)처럼 술어동사를 포함한 뒷부분이 동사 하나로 되어 있으면 술부와 술어동사(동사)는 같고, 예1)처럼 동사와 더불어 여러 단어로 되어 있으면 술부와 동사는 다르다 하겠습니다.




 2. 주어(主語 Subject Word) 


주어(主語)란 主(주인 주)자와 語(말씀 어)자가 합쳐진 말로, 즉 ‘주인이 되는 말(단어)’을 뜻합니다. 어디에서나 주인은 가장 중심이고 중요한 것이지요. 문장에서도 주어라 함은 문장 내에서 중심이 되면서 가장 중요한 것 즉 핵심이 되는 말입니다. 주어는 일반적으로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하며, 단어 뒤에 -은, -는, -이, -가를 붙여 해석합니다.


다음 예문을 보세요.

‘주어(主 주인 주 語 말씀 어, Subject Word )’는 ‘주제 단어’라는 뜻으로 문장의 골격에서 ‘무엇이’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주어’는 ‘주인 말씀’이란 의미입니다. 이는 주부에서 주인인 말씀, 즉 가장 중심이 되는 말씀(주부의 알맹이)이라는 뜻입니다.

주어는 대개 ‘명사 + 은, 명사 + 는, 명사 + 이, 명사 + 가’의 모양입니다.


   (예) 나 그녀를 좋아한다.      어머니 밥을 지으셨다.

        냇물 흘러간다.           사랑 눈물의 씨앗이다.


위의 예에서 ‘나는, 어머니가, 냇물이, 사랑은’은 주어입니다. 주어가 될 수 있는 말은 명사, 대명사, 명사로 취급할 수 있는 말(명사 상당어구)이며 보통 술어동사 앞에 나옵니다.


(예) Jin-sim and I  are good friends. <진심이와 나는 좋은 친구다.>

        주   어      동사


Jin-sim 이는 (고유)명사이고 I 는 (인칭)대명사입니다. 둘은 이 문장의 주어이며 주부입니다

아래 다섯 문장에서 주어를 한 번 찾아보세요.  그렇죠. 맨 앞에 나와있는 I, You, He, She, Birds입니다. 해석을 보면 단어 뒤에 주어를 나타내는 -은, -는, -이, -가 중 하나가 쓰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예문을 보세요. 예문 a에서의 주인은 I입니다. 예문 b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You이고, c에서는 누가 달린다는 것입니까? 바로 He입니다. d와 e에서 중심을 이루는 것은 She와 Birds입니다. 따라서 주어는 ‘누가?’에 대한 답입니다. 위 예문에서 ‘누가?’에 해당하는 답을 찾아보세요. 그렇죠? 주어가 금방 찾아집니다.

다음과 같이 해보세요.


a. I am a student. (나는 학생이다)

b. You are a teacher. (당신은 선생님입니다)

c. He runs. (그가 달린다)

d. She sings. (그녀가 노래한다)

e. Birds fly. (새들이 난다)


a. 학생이다. 누가? 내(I)가

b. 선생님입니다. 누가? 당신(You)이

c. 달린다. 누가? 그(He)가

d. 노래한다. 누가? 그녀(She)가

e. 난다. 누가? 새들(Birds)이


  주어는 바로 ‘누가?’에 대한 답이라는 것 잊지 마세요.


3. 동사 (動詞 Verb)


‘동사(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Verb )’는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동작)과 상태(입장, 처지, 형편)를 나타내는 낱말입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동사’는 ‘움직임 말씀’이겠죠.


동작(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 ― 동작동사


(예) I run.  < run  달리다 >  < 나는 달린다. >

 run 은 주어 I 가 달리는 동작(움직임)을 나타내므로 동사입니다.


상태(입장, 처지, 형편)를 나타내는 동사  ― 상태동사


(예) I love him.  < him  그를, 그에게 >  < 나는 그를 사랑한다. >


love 는 주어 I 가 그 남자(him)를 사랑하고 있는 입장, 처지, 형편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예) She is gone.   < 그녀가 가버렸다.(그래서 지금 여기에 없다) >

 < she  그녀 is ~이다. gone  지나간, 죽은  >


is gone 은 그녀가 과거에 가버려서 지금은 여기에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렇듯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과 상태를 나타내는 낱말을 ‘동사’라 합니다


다음 단어들을 살펴볼까요?

run(뛰다)     play(놀다)     walk(걷다)     fly(날다) 

cry(울다)     ask(묻다)     eat(먹다)


어떻습니까? 단어들 모두 움직임을 가지고 있지요? 때문에 이러한 단어를 동사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다음 단어들은 어떤가요?


                love(사랑하다)        think(생각하다) 

                like(좋아하다)         miss(그리워하다)


우리가 생각할 때 위의 단어들은 움직임이 보이는 단어들은 아닙니다. 하지만 위의 단어들은 마음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이지요. 마음의 움직임도 움직이는 것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위의 단어들도 동사라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이와 같이 동사는 실제 움직임이나 마음의 움직임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주어 뒤에 위치합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 이야기


1) 자동사(自動詞 Intransitive Verb)

자동사(自 스스로 자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Intransitive )’는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은 동사입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자동사는 ‘스스로 동작하는 말’입니다. 자동사는 주어가 행하는 동사의 작용이 다른 것(사물, 목표물, 대상,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주어 자신에서 끝나버립니다.


  (예) You   go.     < 너는 간다. >

           자동사

주어 스스로 움직일 뿐 주어가 행하는 동사의 작용이 주어에서 그치고 다른 것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go는 자동사입니다.


  (예) I am happy.    < 나는 행복하다. >

        자동사


am (~이다)의 작용이 다른 것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am 은 자동사입니다.


(1) 완전자동사

완전자동사는 목적어와 보어가 모두 필요 없는 동사입니다.

완전자동사에서 ‘완전’이란 말은 보어(보충말)가 필요 없다. 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자동사는 주어가 행한 동사의 작용이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주어 자신에서 끝나버리므로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완전자동사는 보어와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완전자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주어와 동사만 있으면 온전한 문장이 됩니다.

 (예) You   go.      < 너는 간다. >

         완전자동사


(2) 불완전자동사

불완전자동사는 주격보어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불완전자동사에서‘불완전’이란 말은 무언가 완전치 못하므로 보충말(보어)이 필요하다,

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자동사는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불완전자동사는 보어는 필요하나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불완전자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주어와 동사만 가지고는 온전한 문장이 안 됩니다. 보어가 있어야만 온전한 문장이 됩니다.


  (예) I   am     happy.    < 나는 행복하다. >

      불완전자동사 주격보어


am (~이다)만 가지고는 주어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을 보충하는 말 (주격보어)가 필요합니다.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어도 말이 되는 동사를 말합니다. 다음 동사를 보세요.

                fly(날다)       run(뛰다)      swim(수영하다) 

                sleep(자다)    walk(걷다)    go(가다)


  위의 동사들은 목적어가 없어도 말이 됩니다. 다음 문장을 보세요.

       

        Birds fly. (새들이 난다.)  

        Children run. (아이들이 뛴다.) 

        Students swim. (학생들이 수영한다.)

        Children sleep. (아이들이 잔다.) 

        Boys walk. (소년들이 걷는다.)

        Girls go. (소녀들이 간다.)


자, 위의 문장에는 모두 목적어가 없지만, 모두 말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목적어 없이 스스로 말이 되는 동사를 자동사라고 하는 것입니다.

 

 

2) 타동사(他動詞 Transitive Verb)

 

타동사(他 다를 타, 그이 타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Transitive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자동사와 타동사의 본질적 차이점은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가, 안 하는가에 있습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타동사는 ‘타(그이)에게 동작이 미치게 하는 말씀’입니다. 즉 타동사는 주어가 행한 동사의 작용이 타인이나 다른 사물(목표물,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는 동사입니다. 반면에 자동사는 주어가 행한 동사의 작용이 타인이나 다른 사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주어 자신에서 그쳐버린다는 점이 타동사와 다른 점입니다.


  (예) I  love  her.    <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타동사   목적어


주어가 사랑이란 행위를 하는 작용이 그녀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1) 완전타동사

완전타동사는 목적어(~을, ~를)만 필요로 합니다.

완전타동사에서 ‘완전’이란 말은 보어가 필요 없다. 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타동사는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때문에 완전타동사는 보어는 필요 없으나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완전타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만 있으면 완전한 문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예) I  love   her.  <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타동사 직접목적어


(2) 수여동사

‘누구에게, 무엇을’주는 동사입니다.授與(수여: 줄 수, 줄 여)란 말이 “주다”라는 뜻입니다. 직접목적어(~을, ~를)와 간접목적어(~에게)를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예) She gives   me      a letter.  < 그녀는 나에게 편지를 준다. >

         수여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3) 불완전타동사

불완전타동사는 목적어와 목적격보어를 함께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불완전타동사에서‘불완전’이란 말은 무언가 빠져있어 불완전하므로 보충말(보어)이 필요 하다 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타동사는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때문에 불완전타동사는 보어도 필요하고, 목적어도 필요한 동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불완전타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격보어가 있어야 완전한 문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예) I  think     him     happy.  <나는 그가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불완전타동사  목적어   목적격보어


♣이처럼 동사가 5종류(완전자동사,불완전자동사,완전타동사,수여동사,불완전타동사)로 구분되므로 문장도 5종류의 형식으로 분류됩니다.   

  

 [[정리]]                       

☺ 보어가 필요치 않냐, 필요하냐에 따라 ‘완전’과 ‘불완전’으로 나뉨

    →보어가 필요치 않으면 ‘완전’, 보어가 필요하면 ‘불완전’

☺ 목적어가 필요치 않냐, 필요하냐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구분됨

    → 목적어가 필요치 않으면 ‘자동사’, 목적어가 필요하면 ‘타동사’

☺ 완전자동사 → 보어와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 불완전자동사 → 보어는 필요하나 목적어가 필요치 않는 동사

                  (주격보어만 필요함)

☺ 완전타동사 → 보어는 필요치 않으나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직접목적어가 필요함)

☺ 불완전타동사 → 보어도 필요하고 목적어도 필요한 동사

                  (목적어와 목적격보어가 필요함)

☺ 수여동사 →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자동사란 自(스스로 자)자와 動詞가 이루어진 말로 ‘스스로 동사가 될 수 있는 동사’를 뜻합니다. 스스로 동사가 된다니.. 이게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죠? 스스로 동사가 된다는 말은 목적어가 없어도 말이 된다는 뜻입니다.

다음 문장을 보세요.

                I love...       I watch...     I think...  

                I like...        I miss...

해석해 보면,

       나는 사랑한다...  나는 본다... 나는 생각한다...

       나는 좋아한다...  나는 그리워한다...


이렇습니다. 언뜻 우리말로는 말이 되는 듯합니다. 그러나 이 문장은 성립되지 않는 것입니다. 왜일까요? 위의 문장들은 모두 목적어가 있어야 성립됩니다. 목적어가 없으니 말을 하다만 꼴이 되는 것입니다. I like...를 예를 들면,


       A : 너 누구 좋아하니?

       B : 그래.. 나 좋아해

       A : ??


B의 대답이 완전한 대답인가요? 그렇지 않죠? 누구를 좋아하는 지에 대한 언급이 빠져 있습니다. 어딘가 허전한 느낌이 듭니다. 완전한 말이 되려면 “그래.. 나 ○○를 좋아해” 해야겠죠.


위의 단어들은 모두 목적어가 있어야 이루어지는 타동사입니다. 타동사란 他(남 타)자와 動詞가 합쳐진 말로 ‘남의 도움으로 동사가 되는 동사’란 뜻입니다. 남이 없으면 동사가 될 수 없다는 말, 즉 뜻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뜻이죠. 여기서 ‘남’이란 바로 ‘목적어’를 말합니다. 목적어가 있어야 말이 된다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위에서 예를 든 love, watch, think, like, miss는 모두 목적어가 있어야 말이 되는 ‘타동사’인 것입니다. 

 

Posted by skyedu
|
현재진행형이란? 간단히 말해서,

 

'지금 ~하고 있는 중이야'에 해당되는 표현 입니다.  'I'm cooking'(나는 요리중이야), 'I'm reading a novel'(나는 소설책을

읽는 중이야) 'I'm playing baseball'(나는 야구하고 있는 중이야)등 다양한 문장이 있을 수 있겠죠..

 

과거진행형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쉽게말해 '~하는 중이었어'라는 표현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배웠듯이 현재진행형의 경우 얘기되는 시점은 '지금','말하는 순간'이었습니다. 그러면 과거진행형의 경우도 

기준이 되는 어떤 '시점'이 있어야 겠죠? 예를들어, '너 어제 저녁 아홉시에 뭐하고 있었어? 전화해도 안받던데?'라는 질문을

받았을 경우 우리는 '어제 저녁 9시'를 그 '시점'으로 놓고 얘기를 나누게 되겠죠.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은 이때 과거진행형으로

'나 샤워하고 있었어'라고 답변을 해야 되겠죠.. 이와같이 과거진행형은 일반적으로 과거의 어떤 '기준 시점'에서 '나는 ~을

하고 있었다'라는 뜻으로 사용이 됩니다. 그럼 방금 예로 든 '나 샤워하고 있었어'를 영어로 한번 해 보겠습니다.

 

먼저, 현재진행형의 공식은 am/is/are + ~ing(동사의 ing형)이었습니다. 그리고 과거진행형의 경우는 am/is/are를 과거형으로

바꾼 'was/were + ~ing'입니다. 그래서 '나 샤워하고 있었어'는,

 

'I was taking a shower.'입니다. 그리고 참고로 '난 니가 어제 전화했을때 나는 샤워를 하고 있었어'는

 

'I was taking a shower when you called me yesterday'가 됩니다.

 

 

(참고로 일기를 쓰시거나 작문을 하실때 '샤워하다'란 뜻을 찾으시려면 먼저 'shower'를 사전에서 찾으신 후 예문을 보시면

샤워하다란 뜻으로 'take a shower'란 예문을 찾으실 수 있을겁니다. 작문은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grammar in use

에서 배우신 '어법'과 사전만으로도 얼마든지 문장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그렇게 스스로 사전을 찾아보시고 익힌 표현은 완전히

자기것이 되겠죠?)

 

과거진행형의 부정문과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은 am/is/are를 과거형 was/were로 바꿔주는 것을 빼고는  현재진행형의 그것과

동일합니다


Posted by skyedu
|
ABC's of something
n. the basic principles or facts of (a subject or procedure)
    (어떤 과목이나 절차의) 기본 원칙들, 기본적인 사실들 

나는 컴퓨터의 기본을 전혀 배운 적이 없어서 내 하드 드라이브가 파손되었을 때 어찌할 바를 몰랐다
I have never learned the ABC's of computers, so when my hard drive crashed I was helpless. 

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글쓰기의 기본 원칙 이상을 알아야만 한다 
You have to know more than the ABC's of writing to be a journalist. 

Posted by skyedu
|

Rejoice with those who rejoice;

mourn with those who mourn. (Romans 12:15)

 

rejoice;기뻐하다, 좋아하다; 축하하다

mourn;슬퍼하다, 애도하다,한탄하다.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 (로마서 12:15)


Posted by skyedu
|

[ 오늘의 생활영어 : 크리스마스 이브에 뭐 할 계획이야? ]

[한글]

A: 크리스마스 이브에 뭐 할 계획이야?        

B: 교회에 갈 계획이야.

A: 너는? 

B: 난 그냥 TV나 봐야 할 것 같다.

[영어]

A: What do you plan to do on Christmas Eve?       

B: I'm planning to go to church. 

A: What about you?

B: I think I'm just going to watch TV.

[영어식 어순]

A: What do you plan to do / on Christmas Eve?  

    뭐 할 계획이야?                       /  크리스마스 이브에                              

B: I'm planning to / go to church. 

    난 ~할 계획중이야  /  교회에 가다 

A: What about you?

    너는?

B: I think / I'm just going to watch TV.

    내 생각엔 / 난 그냥 TV나 볼 꺼 같다       

Posted by skyedu
|

[오늘의 영어회화 패턴]

 How much do you ~ ?    

 얼마나 많이 ~하나요?

 

 

[한글 예문]

1> 한 달 수입은 얼마나 되세요?

2> 그에 대해 얼마나 아세요?

3> 주량이 얼마나 되세요? 

 

 

 

[영어 예문]

1> How much do you earn a month?

2> How much do you know about him?

3> How much do you usually drink?

 

 

 

[영어 어순]

1> How much / do you earn / a month?

     얼마나 많이  /  버시나요?          /  한달에                                        

2> How much / do you know / about him?

     얼마나 많이  /  아시나요?           /  그에 대해 

3> How much / do you usually drink?

     얼마나 많이  /  보통 술을 드시나요?  


Posted by skyedu
|
What do you think of the movie last night? 

 어젯 밤에 본 영화 어땠어? 

[영어식 어순 익히기]  

What do you think of / the movie / last night?

~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  그 영화         /  어젯 밤에  


Posted by skyedu
|